세팅을 몇번 하다보니 보완해야 할 부분들이 있어서 남겨둠
1. 윈도우에서 주피터 서비스를 실행 시키기 위해서는 path 환경 변수에 아나콘다의 script 와 library\bin 이 두가지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콘솔에서 바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기기 때문. 서비스를 등록할때 로컬 계정에서 실행하는 것도 시스템 환경 변수가 아닌 로컬 환경 변수에 등록되기 때문임.
2. 윈도우에서 텐서플로우로 학습을 시작하면 바로 커널이 죽는 문제가 생기는데 라이브러리 문제 였다.
Python kernel dies on Jupyter Notebook with tensorflow 2
I installed tensorflow 2 on my mac using conda according these instructions: conda create -n tf2 tensorflow Then I installed ipykernel to add this new environment to my jupyter notebook kernels as
stackoverflow.com
해당 글을 보면
http://www.winimage.com/zLibDll/zlib123dllx64.zip
위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dll_64 폴더의 dll 파일을
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1.x\bin\
위치에 넣으라고 되어 있다. 여러가지 cuda 버젼에서 테스트 해봤는데 다 잘되었음.
참고로 cuda를 여러 버젼 설치했다면 환경변수에 cuda_path를 수정해서 사용할 버젼을 선택할 수 있다.
3. 주피터 노트북을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config 에서 App.origin = '*' 과 App.ip = '*' 설정을 해줘야 한다.
'코딩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VSCODE 터미널에서 환경 변수 적용하기 (2) | 2022.02.17 |
---|---|
맥북과 아이패드 사이드카 원격 데스크톱 사용 시 끊김 문제 및 유선 연결 불가 해결법 (3) | 2022.02.17 |
우분투 아나콘다 주피터 텐서플로 (0) | 2022.01.21 |
윈도우10 아나콘다 주피터 텐서플로 (3) | 2022.01.20 |
기록 예정 항목들 (0) | 2022.01.18 |